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카카오페이 상장 따상 가능성 전략 및 예상 기대 수익률?

카카오페이 많은 관심 속에서 높은 경쟁률로 많은 청약자수가 몰렸는데요. 적게는 1주에서 많게는 4주까지 배정되었습니다. 문제는 상장일 좋은 가격에 잘 팔아 수익을 많이 내는 게 중요합니다. 카카오페이 상장일 따상 금액과 가능성, 매도 전략을 한번 살펴보도록 할 텐데요. 따블, 따상 도달할 시 예상되는 기대 수익률을 정리해보았으니 참고해주세요.

카카오페이-노란바탕-로고-결제는-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 청약 결과

 

우선, 카카오페이 각 증권사별 균등배정 수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공모가: 90,000원
  • 상장일: 11월 3일 (수)
  • 청약 결과: 약 182만 계좌 청약 신청 

 

 

 

 

 

증권사 배정물량 청약건수 균등배정
삼성증권 2,302,084 817,131 2.82
대신증권 1,062,500 328,078 3.24
한국투자증권 708,333 572,162 1.24
신한금융투자 177,083 106,986 1.66

 

 

카카오페이는 기관 경쟁률이 1715:1 이고, 의무 확약 비율은 70%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연도 IPO 종목 중 가장 높은 의무확약 비율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최종적으로 배정된 최종 의무확약은 59%로 그 비율이 줄어들었습니다. 수요예측 결과보다 약 11% 낮아진 비율로 확정되어 아쉽습니다. 그 이유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국내 기관투자자들 보다 의무 확약을 낮게 신청했는데,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많은 수량을 배정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상장일 유통가능 물량은 34.7%로 알리페이가 (2대 주주) 29%를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알리페이가 상장일 최대 변수가 될텐데, 이와 관련해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주식수  비중 유통금액
총 주식수 13,037만주    
상장일 유통물량 (의무확약 59%) 4,520만주 34.7% 약 4조원
기존주주 물량  3,712만주 28.5%  

 

 

 

카카오페이 예상 기대 수익률

 

 

 

 

요즘들어 다시 공모주 시장 분위기가 썩 나쁘지 않다는 느낌이 들어요. 수요예측 결과가 안 좋게 나온 기업들도 상장일 공모가 이상으로 치킨값 수익률을 낼 수 있었기 때문인데요. 

 

아래에서 카카오페이 기대 수익률을 정리해보았는데요. 2주 이상 받으신 분들은 매도하실 때 분할 매도하시는 것도 고려를 해서 좋은 가격에 잘 파셨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60% 이상 따블까지는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따블(더블) 가면 카카오페이 시가총액은 23.5조 입니다. 

 

주가 수익률 예상 수익
(1주)
예상 수익
(2주)
예상 수익
(3주)
예상 수익
(4주)
공모가 (90,000원)          
135,000원  50% 45,000원 90,000원 135,000원 180,000원
144,000원 60% 54,000원 108,000원 162,000원 216,000원
157,500원 75% 67,500원 135,000원 202,500원 270,000원
162,000원 80% 72,000원 144,000원 216,000원 288,000원
180,000원 따블 90,000원 180,000원 270,000원 360,000원
234,000원 따상 144,000원 288,000원 432,000원 576,000원

 

※ 참고 기업: 

  수익률 시초가 수익률 최고가 비고
현대중공업
(60,000원)
85%
(111,000원)
125%
(135,000원)
9:30분 최고가 형성
카카오뱅크
(39,000원)
37.7%
(53,700원)
79%
(69,800원)
시초가 38%이후
장 마지막까지 상승세 (79%)
일진하이솔루스 100% 159.8%  

 

 

카카오페이 코스피 200 조기편입 가능성?

상장 후 15일간 시가총액이 코스피 50위 안에 유지되면 코스피 200에 조기 편입되는데요. 현재 코스피 50위권 종목의 시가총액은 약 8조 원입니다. 카카오페이의 공모가 (9만 원) 기준 시가총액은 약 11조 원입니다. 따라서 코스피 50위 안에 들어가 코스피 200에 조기 편입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만약 카카오페이가 코스피 200에 들어가게 되면 공매도가 시작되기 때문에 청약받은 물량은 그전에 정리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카카오 뱅크처럼 상장일 기관과 외국인들이 대거 들어와 순매수해주기를 바라는데요. 카카오뱅크의 시초가는 53,700원으로 시작(공모가 대비 38%)되어 주가가 밀리기 시작하자 기관들과 외국인의 매수세가 들어오고 결국 상한가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사실 카카오뱅크 때 너무 일찍 매도한 탓에 후회가 좀 됩니다. 카카오페이도 카뱅과 비슷한 흐름을 보여준다면 (시초가가 공모가 근처에서 시작하면) 자금이 더 적극적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는 너무 성급하게 매도하기보다는 느긋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장일 최대 변수? 2대 주주 알리페이

알리페이는 상장일 3,712만 주 물량을 매도할 수 있는데요. 이는 상장일 유통물량의 3/4 수준입니다. 공모가 기준으로 알리페이가 매도에 나선다면 10배 이상의 차익을 얻어가는 셈인데요. 따라서 상장일부터 일부 물량을 축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알리페이는 2대 주주이기 때문에 매도에 나서면 주요 주주 지분율 변동 관련 공시를 하게 됩니다. 다만, 최근 기사에서 카카오페이 CFO의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알리페이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상장 직후 단기간 지분 매각을 할 가능성은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유통물량이 6.2%로 대폭 감소하게 되면서 상장일 주가 흐름에 매우 긍정적입니다. 

 

 

메리츠증권에서는 카카오페이의 적정 주가를 11만원, 기업가치는 14.4조 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타 증권사는 아무래도 지난번 카뱅때 너무 주가가 상승했던 경험 때문에 이번에 리포트를 내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입니다. 그만큼 카카오페이의 주가가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하기 어렵다는 건데요. 모두에게 마찬가지일 거라 생각합니다.

 

모두 카카오페이 매도 좋은 가격에 하시길 바랍니다! 피코그램에 청약하신 분들은 같은 날 상장하는 피코그램도 잊지말고 잘 매도하시기 바랍니다. 

 

 

 

 

지오엘리먼트 공모주 청약 전략 수요예측 결과 경쟁률

11월 2일 ~ 3일 (수) 지오엘리먼트가 공모주 청약이 진행됩니다. 반도체 산업으로 수요예측 결과 기관투자자 경쟁률이 1600 대 1로 꽤 좋게 나왔고, 의무보유확약도 15%로 괜찮게 나온 수준입니다.

meherenow.tistory.com